중학생 때부터 한의사가 되길 꿈꾸던 소년이 있었습니다.
어린 나이에도 인간의 몸을 자연의 섭리에 따라 고친다는 부분이 무척 신비하고 흥미롭게 느껴졌던 듯합니다.
그 소년은 자라서 한의사가 되었고, 어린 시절 꿈처럼 자연의 섭리에 따라 질병을 고쳐가고 있습니다.
꿈을 꾼 지 30년이 넘었지만, 하루하루 환자를 만나는 일상은 꿈에서 봤던 것처럼 늘 신비롭고 흥미롭습니다.
모든 장치에는 설계도가 있습니다.
크든 작든 단순하던 복잡하던, 모두 설계도와 설계 의도를 가지고 있지요.
안타깝게도 “인체”라는 정교한 작품은 설계도가 없이 세상에 나타났습니다.
누천년 동안 사람들은 “인체”의 올바른 설계도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누적시키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올바른 설계도를 얻기 위해 인체를 잘게 쪼개고 분석했고, 동양에서는 설계도를 얻기 위해 살아 움직이는 생체 징후를 눈여겨 살피고 관찰했습니다.
그렇게 오랜 시간 누적된 나름의 설계도로 인체의 고장을 치료해 왔죠.
바야흐로 이제는 통합의 시대입니다.
살아 있는 인체의 동적 징후를 면밀히 살피고, 부족한 부분은 내부 사정을 정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시대입니다.
저는 늘 제가 의료의 사각지대에 서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수많은 질병이 의료 기술의 발달로 정복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유독 각종 만성 통증은 이런저런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X-ray, MRI, CT 각종 정밀 검사에도 환자의 실질적 통증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안 보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오랜 대기를 거쳐 방문한 대학병원에서는 모니터 속 영상만을 보고 나의 질병이 이러이러 하다 결론지어 줍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 해결되지 않는 만성 통증은 얼마나 많은 가요.
정밀 검사가 틀린 것도, 그 정밀 검사를 해석한 의사가 틀린 것도 아닙니다.
다만, 여기에 반드시 추가되었어야 할 환자의 몸 자체에서 보내는 각종 신호들과 통증에 대한 직접적 정보들을 수집하는 한 가지 과정이 빠져 있어 온전한 결론이 나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 지점을 저는 의료의 사각지대라 부릅니다.
인간의 몸은 X-ray, MRI, CT 의 정밀 검사로서만 중요 정보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내 몸의 아픈 위치, 어떤 동작에서 더 아픈지, 처음에 아플 때 어떤 동작에서 어떤 포지션에서 아프기 시작했는지, 더 아픈 시간대와 아팠던 기간 등 각종 통증에 대한 징후들은 실질적 통증의 실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아픈 근육을 눌러 보고, 피부를 집어 보고, 아픈 동작을 시켜봄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보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환자의 몸”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방대한 정보를 올바로 해석하고 여기에 더해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정보까지 정밀 검사를 통해 얻는다면 오랜 통증에 대한 접근은 더욱 정확해집니다.
저는 한의사이지만, 국내에는 몇 명 없는 “미국 의료 초음파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양 한방병원에서 근무했기에, 정밀 검사를 의뢰하거나 판독하는 데에도 익숙합니다.
정밀 검사의 신뢰성에 깊이 동감하고, 필요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진단과 치료에 응용합니다.
하지만, 이런 정밀 검사만큼 중요한 것은 “인간의 몸”자체에서 얻는 정보라 생각합니다.
인간의 몸에서 얻는 정보를 소외시키고, 모니터 속 정밀 검사 결과만으로 내리는 진단은 뜻밖의
“의료 사각지대”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하우림의 각종 치료 후기들과 치료 영상들, 그리고 플레이스의 수많은 평들은 이런 의료의 사각지대에 서 있던 분들의 작은 외침입니다.
누군가 저에게 “뭐 하는 분이세요?” 하고 물으시면
전 이렇게 대답합니다.
“네 저는 각종 통증으로 평범한 일상을 잃어버린 분들에게 소소하지만 평범한 일상을 돌려드리는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
그동안 쌓아온 난치성 만성 통증에 대한 하우림의 노하우가
평범한 일상을 잃고 벽에 부딪힌 그 누군가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길
오늘도 그러한 맘으로 3분의 원장님들 함께 연구하고, 치료합니다.
감사합니다. 하우림 대표원장 김학조 배상
중학생 때부터 한의사가 되길 꿈꾸던 소년이 있었습니다.
어린 나이에도 인간의 몸을 자연의 섭리에 따라 고친다는 부분이 무척 신비하고 흥미롭게 느껴졌던 듯합니다.
그 소년은 자라서 한의사가 되었고, 어린 시절 꿈처럼 자연의 섭리에 따라 질병을 고쳐가고 있습니다.
꿈을 꾼 지 30년이 넘었지만, 하루하루 환자를 만나는 일상은 꿈에서 봤던 것처럼 늘 신비롭고 흥미롭습니다.
모든 장치에는 설계도가 있습니다.
크든 작든 단순하던 복잡하던, 모두 설계도와 설계 의도를 가지고 있지요.
안타깝게도 “인체”라는 정교한 작품은 설계도가 없이 세상에 나타났습니다.
누천년 동안 사람들은 “인체”의 올바른 설계도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누적시키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올바른 설계도를 얻기 위해 인체를 잘게 쪼개고 분석했고, 동양에서는 설계도를 얻기 위해 살아 움직이는 생체 징후를 눈여겨 살피고 관찰했습니다.
그렇게 오랜 시간 누적된 나름의 설계도로 인체의 고장을 치료해 왔죠.
바야흐로 이제는 통합의 시대입니다.
살아 있는 인체의 동적 징후를 면밀히 살피고, 부족한 부분은 내부 사정을 정밀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시대입니다.
저는 늘 제가 의료의 사각지대에 서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수많은 질병이 의료 기술의 발달로 정복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유독 각종 만성 통증은 이런저런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X-ray, MRI, CT 각종 정밀 검사에도 환자의 실질적 통증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안 보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오랜 대기를 거쳐 방문한 대학병원에서는 모니터 속 영상만을 보고 나의 질병이 이러이러 하다 결론지어 줍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 해결되지 않는 만성 통증은 얼마나 많은 가요.
정밀 검사가 틀린 것도, 그 정밀 검사를 해석한 의사가 틀린 것도 아닙니다.
다만, 여기에 반드시 추가되었어야 할 환자의 몸 자체에서 보내는 각종 신호들과 통증에 대한 직접적 정보들을 수집하는 한 가지 과정이 빠져 있어 온전한 결론이 나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 지점을 저는 의료의 사각지대라 부릅니다.
인간의 몸은 X-ray, MRI, CT 의 정밀 검사로서만 중요 정보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내 몸의 아픈 위치, 어떤 동작에서 더 아픈지, 처음에 아플 때 어떤 동작에서 어떤 포지션에서 아프기 시작했는지, 더 아픈 시간대와 아팠던 기간 등 각종 통증에 대한 징후들은 실질적 통증의 실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경우가 무척 많습니다.
아픈 근육을 눌러 보고, 피부를 집어 보고, 아픈 동작을 시켜봄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보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환자의 몸” 자체에서 얻을 수 있는 방대한 정보를 올바로 해석하고 여기에 더해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정보까지 정밀 검사를 통해 얻는다면 오랜 통증에 대한 접근은 더욱 정확해집니다.
하지만, 이런 정밀 검사만큼 중요한 것은 “인간의 몸”자체에서 얻는 정보라 생각합니다.
인간의 몸에서 얻는 정보를 소외시키고, 모니터 속 정밀 검사 결과만으로 내리는 진단은 뜻밖의
“의료 사각지대”를 만들 수 있습니다.
누군가 저에게 “뭐 하는 분이세요?” 하고 물으시면
전 이렇게 대답합니다.
“네 저는 각종 통증으로 평범한 일상을 잃어버린 분들에게 소소하지만 평범한 일상을 돌려드리는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
그동안 쌓아온 난치성 만성 통증에 대한 하우림의 노하우가
평범한 일상을 잃고 벽에 부딪힌 그 누군가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길
오늘도 그러한 맘으로 3분의 원장님들 함께 연구하고, 치료합니다.
감사합니다. 하우림 대표원장 김학조 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