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림한의원 통증칼럼



공진단

관리자
2022-12-04
조회수 55


供辰丹(공진단)


산본공진단



공진단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을 듯 싶습니다.


供(이바지할 공, 공손할 공)

辰(지지 진, 별자리,북극성)

丹(붉을 단, 신선이 먹는 약)


공진 이라는 말은 論語(논어) 위정편에 나오는 말로 모든것의 중심과 근원이 되는 북극성(辰)을 공손히 떠받든다(供)는 의미입니다.


하늘의 모든 별자리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돌듯이 인체에서는 가장 중심이 되는 기운 즉 元氣(원기)를 보양하고 북돋아준다는 의미에 신선들이 먹는 약인 丹을 붙여서 "공진단"이라는 단어가 탄생한거죠.


공진단은 원나라때 명의 위역림의 저서 세의득효방에 기록되어 있는 약이고, 황제에게 진상하던 귀한 약으로 알려져 있죠.



허준이 쓴 동의 보감에는 공진단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음혈을 보한다고 하는 처방들에 약품은 많으나 약효가 매우 약하여 효력을 보기 어렵다. 다만 타고난 원기를 든든히 하여 신수와 심화가 잘 오르내리게 되면 오장이 스스로 조화되고 온갖 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이런데에 공진단을 쓴다"



다른 처방들이 약품은 많으나 효력을 보기 어렵다고 일갈한 것처럼.


공진단에 들어가는 재료는 아주 심플합니다.


녹용, 산수유, 당귀, 사향.



모든 처방에 다 좋은 약재를 써야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탕전하지 않고 분말을 내서 곧바로 섭취하게 되는 "丹"류의 알약(환제)는 특히나 가장 좋은 약재를 써야 됩니다.


녹용도 가장 좋은 부위인 "분골"을 써야하고 당귀나 산수유도 잡질이 없는 가장 좋은 "上品"을 써야겠죠.


하지만 가장 중요한거.

바로 진귀한 약재인 사향입니다.



한약에는 약재간의 황금비율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君臣佐使(군신 좌사) 라고 하여 약재를 구성할때 메인이 되는 주요 약재와, 주요 약재의 약효 발현을 돕는 약재 그리고 때로는 약재들의 독성을 중화시켜주는데 도움을 주는 약재등..


처방 마다마다의 황금비율로 어떤 약재는 더 많이 쓰고, 그 비율에 맞춰서 다른 약재는 적게 써서 하나의 합체된 처방을 완성하게 되죠.


혈을 보충해주고 기력을 보강해주는데 가장 빼어난 녹용분골과 신허(한방에서는 성기능저하)를 치료하는 주요한 약재인 산수유, 혈을 보하는데 가장 중요한 당귀.


공진단의 군약이 녹용,산수유,당귀라고 하면 이러한 약재들의 효능을 가장 빠르게 손끝발끝까지 전달시켜주는 전달자가 바로 "사향"입니다.



한방에서 향이 있는 약재들은 향이 널리널리 빠르게 퍼지는 만큼 그 약효들을 강하게 실어나른다고 합니다.

물론 향이 강해 開竅(개규)약물이라고 하여 막힌 곳을 뚫어주고 정신을 맑게 한다고도 합니다.


어쨌거나 옛날에도 사향은 귀한 약재였겠습니다만


요즘은 황금보다 비싼약재입니다.


원래 원방 공진단에서 황금비율은 녹용과 사향의 비율이 8:1


얼추 5g 짜리 공진단 한알이라면 사향이 100mg은 들어 있어야하죠.


공진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좋은 약재와 그 약재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원방의 사향비율을 유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만드는 과정이 번거롭고 정말 손이 많이 가지만 하우림한의원에서 공진단을 직접 원내 제조하는 이유 또한 이것이기도 합니다.


아쉽게도..


믿을 만한 곳이 없으니 제가 직접 원방 비율대로 넣어 만드는 수 밖에요.


공진단은 처럼 귀한 약들은 주로 황금 금박으로 쌓여있습니다.



금박으로 코팅을 하는 건데요.


이유는 두가지죠.

하나, 빚어 놓은 환(약 알)이 말라서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의 역할.


둘, 금박은 한방에서는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역할이 있습니다.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약재의 의미도 있는 거죠. 그래서 우황청심환 같은 귀한 약들도 금박으로 코팅을 하게 됩니다.


코팅도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기도 하고.


비싼 금이 비싼 만큼 일석 이조의 역할을 해줍니다.


가장 좋은 약재

원방 배합비율 그대로

진짜 사향

하우림공진단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사진과 함께 원본 글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0 0

진료 시간 안내


월수금 09:00 - 18:30

화목 야간진료 09:00 - 20:30

공휴일 토요일 09:00 - 14:00

(점심시간 없이 진료)

일요일은 휴진 입니다


*점심시간 13:00 - 14:00